[념추요청]서연고성한 진학해서 뽕 뽑는 법

by ㅇㅇ posted Feb 19,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 => 낮을수록 좋음학생 1인당 교육비 => 높을수록 좋음학생 1인당 장학금 => 높을수록 좋음연평균 등록금 => 낮을수록 좋음

교육비 + 장학금 - 등록금 => 높을수록 좋음.평판 선호도 떠나서 여기 나온 자료로만 봤을 때학부입학해서 더 좋은 환경에서 공부할 수 있는 학교는설 >> 연 > 성 > 고 >> 한 임..학생 입장에서 학교의 장기적인 성장(재단)보단 내가 재학하는 4년동안 얼마나 뽑아먹을 수 있는 지가 중요함..학비 저렴하고 투자 많이하는 서울대는 단연 1위고,연세대는 학비 비싼대신 학생한테 투자를 많이해서 밸런스가 훌륭,성균관대 고려대는 연세대보다 학비가 낮은 대신 그만큼 학생에 대한 투자도 낮아지지만 여전히 학비와 투자규모는 높은 편. 밸런스 괜찮은편.한양대는 성, 고 와 학비는 비슷하지만 교육비가 가장 낮아서 학생 입장에선 상대적으로 가성비가 떨어짐..인서울 5개교를 비교했지만 위 수치 극강의 가성비를 보고싶으면 이공계 특성화학교(카포지유디) 검색해보면 볼 수 있고 왜 지방 디메릿 안고도 인서울 대학과 선호도로 비벼지는 지 알 수 있음. (교육비 + 장학금 - 등록금 지표에서 카포지유디 모두 서울대를 넘어섬.).재단규모는 학교차원에서 길게 봤을 때 성장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이고 학생 입장에선 위 수치들을 더 눈여겨 볼 필요가 있음. 물론 재단이 똥망이라 가까운 미래에 망할거 같으면 이야기가 다르지만 최소한 위 다섯 학교는 아니라고 봄..출처 - 대학알리미.*연세대 고려대 한양대는 서울 본캠만의 통계임.

814989_0.jpg.png

814989_1.jpg.png

814989_2.jpg.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