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개념 ㅈ댄거 같은 애들 이거라도 보고가라
시험 응시 기본 태도.
1. 경향성 일반화 선지 > 예외 찾기(보통 매우 낯선 선지) > ex)태풍 세력 작아질 수록 이동속도 빨라진다.
2. 생전 처음보는 낯선 선지 > 맞을 가능성 굉장히 높으며 최대한 주어진 지표 속에서 관련 정보 이끌어 내도록 해보자.
3. 단,~는 조건에 핵심 수치 숨겨져 있을 수 있다. 가능한 훑어서라도 읽어보고 수치 값 있을 시 이용하자.
4. 낯선 문제 차분히 비례 반비례 관계 잡아내어 분석하자. 명확히 요약하기.
5. 귀찮더라도 제발 x,y 증감 방향 확인하자 낚시문제 종종 있다.
6. 계산을 통하여 A의 값은 B이다. 라고 물어 볼 시 A에서 B를 유도하기 보다 등식에 B를 대입하여 O,X만 판별하자.
ex)기준파장 600 흡수선 603.5로 관측된다. OX > 주어진 H,r값 이용하여 c*(3.5/600)= H*r 등식 성립하나 확인.
7. ~는 각각 A와 B이다. vs 각각 A와 B중 하나이다. ( 엄밀히 구분하자 > 잘못 읽으면 뇌절하기 쉽다. )
8. 남반구 2월 여름 8월 겨울이다. 남반구 등장 시 항상 계절 주의하자.
1단원
1. 플룸 그림 반으로 지구 가르고 밑에서 올려다 본 그림 기준 차가운플룸(아시아)의 우측(태평양) 좌측(아프리카)> 반대편 대서양해령
2.오존층 형성(실루리아기 시작 근방)>최초의 육상식물 형성>최초의 육상척추동물 등장(데본기~석탄기)
3.섭입대 용융되는 것은 결국 지각이 아닌 맨틀 (현무암질 마그마)
4. 호상열도 > 해구와 나란히 존재 (섭입대) / 열점에 의해 생성 > 열도(일렬로 나열된 섬) - 하와이 열도,제도
5. 열점> 고정되어 있다 절대 움직이지 않음 > 화산섬의 고지자기복각 모두 동일 ( 생성된 위치 동일 )
6. 베게너 > 대륙이동설 증거 4가지 제시 (해안선,암석,빙하,화석 > 나머지 고자자기 어쩌구 전부 베게너와 무관)
7. 1000km 이상의 열기둥 > 플룸으로 간주 ( 500m단위 > 그냥 국지적 온도 상승 )
8. 대륙지각 평균 연령 > 해양지각 평균연령 : 해양지각은 해구에서 소멸되기 때문.
2단원
1.사층리,연흔 상대적으로 입자크기 작게 퇴적
2.지층 순서 추론 문제 > 선지 틀렸을 거라는 가정하에 의심하며 판단하기. ( 분출 - 관입, 변성영역 엄밀하게 판단 )
3.건열 > 수심이 얕은 물질(=점토질물질 1/16mm 이하)이 쌓인 후 표면이 대기에 노출되어 형성. (셰일,이암층에서 잘 형성됨)
4.시생누대 산소 거의 존재 x 원생누대부터 광합성 시작하여 대기중 산소 비중 꾸준히 증가. (최초의 광합성 원생누대)
5.역암 사암 이암 순으로 (입자가 작아질 수록) 수심 깊어진다. (무거운 입자 멀리까지 가서 퇴적 x)
급격하게 수심이 깊어지는 대륙사면,호수와 같은 경우 예외 ( 점이층리 일어나 수심 깊은 곳 일수록 무겁고 큰 입자 퇴적 )
6.지표에 나타난 4방위 자료 > 위에서 내려다 본 그림이라는 지시어. 꼭 이용해야만 한다.
7. 지층 순서 정확히 미정인 상태로( case 여러가지 상태 )로 선지에서 특정해 판단 요구 할 수 있다. 모르겠으면 선지 먼저 보자.
8. 숙성 작용 진행될 수록 공극 작아진다.
9. 최소 융기 횟수는 육상에 노출된 횟수와 다르다. ( 위에 지층 있을 시 융기해도 육상 노출 X > 직접 세어보기 )
10. 두 지역의 모든 지층은 ~(해상,육상)에서 생성되었다.(= A지층의 1,2,3,4 지층 B지층의 1,2,3,4 지층 모두 해상or육상에서 생성)
11. 석회암,삼엽충 > 해성층 지표 / 공룡 발자국 > 육성층 지표
12. 양치식물 > 현재까지 번성(고사리)
13. 번성시기 출현시기 엄밀히 구분하자. (겉씨 번성(중생대))
14. 수면 아래 > 퇴적 / 수면 위 > 침식
3단원
1.태풍 이동속도 클수록 위험반원 풍속 크다>태풍의 이동속도 빠를 수록 안전반원 풍속과 위험반원 풍속 차이 커진다.
2. 가시 영상 척도: 반사된 정도 : 구름 두께
적외 영상 척도: 온도 판단(구름이 없더라도-ex구름 없고 바다 온도 높을 시 어둡다) : 밝을 수록 온도 낮다.
적외선 기상위성>구름으로 판단한다. 온도 클수록 어둡고 온도 낮을수록 구름고도 높고 구름 발달한다.
3.넓게 퍼진 온난전선 > 지나는 데 시간이 오래 소모됨 > 시간당 강수량은 높지 않아도 오래 지속 > 소나기 발생 x
한랭전선 > 온난전선보다 이동속도 빠름 > 적란운 + 빠르게 지나감 > 소나기 발생 o
4.지상풍 상층풍 풍향 무조건 반대 물어보는 것 주의하자.
5.오직 태풍 중심만이 하강기류 ( 기단 중심에 흐르는 풍향 상층과 하층 반대 한쪽에서 수렴시 한쪽은 발산 )
6.일기기호 기압 마지막 한자리 = 소수점 한자리 기압. 285> 1028.5 hpa (o) 928.5(x) - 일반적으로 950~1050hpa 사이로 생각.
7.운량>시계방향으로 찬다( 구름의 방향 지표 x ) / 절반 찬 정도 흐림 x 갬 > 흑색으로 꽉찬 정도가 흐림.
8. 한랭전선 앞: 남서풍 뒤: 북:북서풍 / 풍향계 > 화살표가 가르키는 방향=불어오는 방향
9. 급격한 풍향, 기온변화 존재시 전선 지나간 것 . ( 구름 강수량 통해서도 판단 가능 ) / 구름영역 > 강수영역
10. 염분비 일정의 법칙 > 염류량은 제각각일 수도 있지만 염류 중 염화나트륨or구성성분 비는 모든 해역 비슷하다.
11. 우박> 과냉각 상태 일어남. 여름에 우박 크기 가장 크다 ( 상승기류 셀수록 우박 크기 크다. 무게 감당 안될 때 떨어짐.)
12. 저위도일수록 순환세포 크기 크다. (위도 증감 방향 잘 보기)
13. 정체전선 구름대 전선면 쪽으로 생기지만 보통 전선을 포함하며 구름대 형성
14. 난류,한류 특징 ex온도 높다 산소함량 높다 >> 전부 동일 위도 기준 상대적 수치.
15. 남반구 위도 높다 낮다 표현 주의 -10도 -80도(위도) -80도가 더 위도 크다.
16. 집중호우 기준 : 시간당 30mm 하루 80mm 연 강수량의 10%이상
17. 남반구 온대저기압 > 북반구 기준으로 정확히 뒤집혀서 편서풍 따라 이동한다.
4단원
1. 남극> 결빙, 북극>냉각 : 심층수 형성 원인
2.심층수>심층에 산소 공급
3.엘니뇨> 워커순환 약화한다. 엘니뇨 라니냐> 지표 해석시 5개월 이상의 전반적 경향성으로 판단한다.
4.남극 저층수 > 북대서양 심층수보다 수온 염분 모두 낮다.
5.기본적으로 겨울철 Co2 사용량 여름보다 많다. (북반구 남반구 반대 주의)
6.워커순환 동쪽으로 이동 = 순환약화 = 무역풍 약화 = 엘니뇨
7.심층수 증발량-강수량(표층염분비례)과 무관하다 영향 x
8.저기압 중심 > 용승
9.심층순환 약화> 저위도 고위도 수온차 상승
10.여름 낮 길이>겨울 낮 길이/위도 높을수록 남중고도 낮고 위도 낮을수록 남중고도 높다/자전축 기울기-연교차 비례(밤,낮 길이 차)
11. 라니냐시 서태 기압편차 - 동태 + 엘니뇨시 서태 기압편차 + 동태 -
20도 등수온선 지표 = 수온약층 시작 깊이 지표
엘니뇨시 수온선 지표 서태 -(올라옴) 동태 +(깊어짐) / 라니냐시 수온선 지표 서태 + (깊어짐) / 동태 - (얕아짐)
12. 여름철 > 수온 상승 > 대체로 강수로 인해 염분 감소 > 밀도 감소 : ex) 서해 연안류
13. 특정 해역 깊이따라 수괴 다르다. ( 중층수 > 심층수 > 저층수 )가능.
5단원
1.흡수선 파장 변화 크기 > 시선방향으로 정사영한 속도 성분 크기 비례 > 시선방향 최우선으로 확인할 것
2.100L이상 (적색거성) 10000L이상 초거성 / 적색거성과 초거성 다른 개념
3. O,B,A 무조건 태양보다 어리다 10000K 이상 주계열성 수명 < 태양의 나이 / 별의 색,분광형은 오직 표면온도로만 판단한다.
4. 백색왜성> 초신성 초신성 폭발 일어나지 않는다.(무조건 블랙홀 or 중성자별로 최종 진화)
5. 식현상 > 주기함수=공전 주기 > 수치값 삼각함수 이용
6. 주계열성 질량 클수록 거성 진화시 반지름 크기 더 커진다 ( 어릴 때 큰 놈이 커서도 크다 )
7. 핵 > 복사층 > 대류층 vs 대류핵 > 복사층 / 핵,비핵 경계=핵융합반응 일어나느냐 안 일어나느냐.
8.흡수선 세기가 센 것과 실제 물질 구성 무관. 주계열성 대체적으로 H>He>>나머지 (항성 질량 대부분 H,He가 차지함)
9.pp, cno 일어나는 지 확인 전 주계열인지 우선 확인하자. 중심 핵에서 pp cno >> 주계열만 일어난다. (수소각에서는 가능..?)
10. 별이 직접 융합해서 만들어 내지 않아도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특정 원소 존재할 수 있다.
11. 절대등급 or 겉보기 등급 1등급 차이 > 광도 2.5배 차이 / 밝기 상대 값 2.5등급 차이 x 주의. / 4등급차 40배 5등급차 100배
12. 태양> 에너지 최대인 파장 값 = 0.5마이크로미터 = 500나노미터 / 절대 등급 4.8등급 /
표면온도 5800K/ G2V / 중심온도 1500만k > A0형 특징 : 표면온도10000K 절대등급 0등급 근처 / 100L 근처
13.정역학 평형 > 주계열or거성 류 에서 일어남.
H고갈 He핵 형성 > 중심 온도 감소 > 내부압 감소 > 중심부 수축(중력>내부압력) > 중심핵 1억 K도달 >
He핵 융합반응(정역학평형 됐다 안됐다) > 수소각 연소(H융합) > 별 팽창 > 중심핵 He모두 소모 시 중심핵 다시 수축
> He외곽 연소 (적색거성>2중연소,2중연소가 일어나야 정역학 평형,거성단계 진입) > 탄소핵 수축. (태양수준 별 탄소융합x)
14. 시선속도 그래프 별의 스펙트럼 분관광측 통해 얻어낸다( 이때 행성으로 낚시 주의해라 )
15. L T R 표 만들어 별 정리하기 ( 별 A,B,C 대소 관계 표현 ) > 항상 엄밀한 계산 할 준비 되어 있어야 한다.
16. 주계열 > 초거성 광도 변화보다 주계열 > 적색거성 광도 변화가 더 크다. ( 반지름의 경우 초거성으로 진화 할 때 더 크게 변화 )
17. 공전궤도 중심과 가까울 수록 주기 짧아지고 속력 빨라진다.
공통질량 중심 별다른 언급 없을 시 그냥 별의 중심으로 간주해도 무방.
18. 도플러 문제 등장시 항상 행성낚시 주의하기. > 모든 관측 지표 별의 것
19. 거성 류들간의 질량 비교 > 주계열 이였을 당시 기준으로 질량비교 > 대소관계 유지.
6단원
1.수소 헬륨 질량비 3:1 > 급팽창 우주론 근거
2.정상우주론 > 우주 밀도 온도 유지 / 빅뱅우주론 > 우주 밀도 지속적으로 감소
3.급팽창 이전 관측가능한 우주 크기 ( 우주의 지평선 ) > 우주의 크기
4.동일한 은하 기준 > 속력 x배이면 기준 파장 값 동일 하다면 델타 람다(파장 변화량) x배로 비례한다.
5.성간 물질 불규칙이 원탑으로 많다. ( 불규칙>>나선>>타원 )
6. 우주의 밀도 감소 시 > 우주의 온도 감소 (현재 진행형)
7. 타원은하 별 > 과거에 급격히 생긴 후 이후 생성 x > 현재 은하 온도 상대적으로 낮은 편
8. 빛을 통해 상호작용 가능하다 <=> 온도가 동일하다. 밀도 동일하다.
9. COBE > WMAP 순으로 발달 ( 기술 발전으로 화질 선명해짐 )
10. Ia형 초신성 절대등급 항상 동일 > 겉보기 등급 1:4 > 거리비 1:2
11. 원자핵 우주 탄생 1초후 근방에 형성 > 중성원자(최초의원자) 38만년 뒤 생성, 당시3000K( 빛 자유롭게 이동, 별 생성되기 시작 )
12. 거리 속력 그래프 ( v=H*r 그래프 > 동일한 R기준으로 v비교하여 H값 대소 비교 )
13. 붉은 별 비율 > 나선은하 중심부에 높다.
14. 파장의 길이는 우주의 크기에 비례한다. ( 파장 길이 x배 > 우주 크기 x배 )
15. A,B거리 A에서 쏜 빛 8억광년 후 B도착 시 AB사이 거리 8억광년+a